지난 4~5월달 부터 시작된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 9기 예비 연수생을 끝내고 정식 연수생이 되어 6~11월 말까지 프로젝트를 열심히 진행해 왔습니다.맨 처음에는 코딩 테스트를 봐서 150명을 거른 후 예비 연수생이 되어 기획을 하면서 기획 검증을 받는 단계입니다.그 후 100명이 정식 연수생이 되어서 6개월간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됩니다.저는 블록 코딩과 딥러닝을 조합한 교육 웹 플랫폼을 기획했고 예비 연수생 시절 때 아이디어의 독창성과 구현 가능도를 검증 받고 연수생이 되었습니다.저는 제 아이디어를 그대로 가지고 팀장으로써 팀원 2분을 데리고 갔습니다.저는 저 나름대로 팀장으로써 기획서, PPT, 프로젝트 개발등 열심히 참여 했고, 팀원 분들도 최대한 따라주시려고 했습니다.두 분다 저보다 나이가 많으신 ..
좀 지난 시간이지만. 2018 지스타를 다녀왔었습니다.아쉽게 각 잡고 3~4일 부산에서 즐긴게 아니라 학교에서 단체로 간거라서 4시간정도 밖에 즐기지 못해서 좀 아쉬운 감이 있었습니다.2014 지스타때 한 번 온적이 있었는데 그때랑은 비교해서 모바일 게임이 대량으로 늘어나고 해외 게임 업체도 많이 참가 했다는 점이였습니다.원래는 적당히 놀고 갈려고 했는데, 포트나이트 경품 이벤트에서 하나 체험하고 스탬프 다 찍어주신 착한 직원분 덕분에 포트나이트 곡괭이, 모자, 티셔츠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ㅋㅋ시간 관계상 넥슨 모바일 게임은 크레이지 아케이드 모바일만 체험해보았는데.. 진짜 재미 없었습니다.
최근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3.0이 출시 했다.평소에는 순수 네이티브 안드로이드 개발은 생각만 했고, 보통은 크로스 플랫폼 엔진을 통하여 안드로이드 개발을 하였는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3.0이 출시 하면서 동시에 Kotlin 언어가 등장 하여 안드로이드 개발 언어의 표준이 되었습니다.사실 이 Kotlin 언어는 갑자기 등장한 것이 아닌, 등장한지 조금 됬지만 역사는 오래 되지 않은 언어입니다.Kotlin은 우리가 친숙하게 사용하는 Android Studio의 개발진인 Jet Brain이 개발한 언어로써 2011년에 등장한 언어라고 합니다.Kotlin은 JVM(자바 가상 머신)을 위해 바이트 코드로 컴파일 되어 사용 가능하기도 하나, JavaScript 인터프리터 또는 네이티브로도 동작을 한다고 합니다.꽤..
2017/07/12 - [3D 프로그래밍/Vulkan] - Vulkan Tutorial 번역2017/07/18 - [3D 프로그래밍/Vulkan] - Vulkan Tutorial 번역 - 22017/07/23 - [3D 프로그래밍/Vulkan] - Vulkan Tutorial 번역 -3 Vulkan Tutorial을 번역한 번역본의 수정본 입니다.앞으로의 수정은 Github 또는 이 포스팅에서 계속 업데이트 할 예정입니다. 2017년 10월 10일 수정본 2017년 11월 14일 수정본
컴퓨터를 포맷하고 Boost 라이브러리중에 써봐야 될것이 있어서 다시 Boost를 설치하던 도중에 Boost의 bootstrap을 실행 시키니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무슨 에러인지 확인하기 위해 위에서 bootstrap.log파일을 확인하라고 하는거 같은데.내용은 다음과 같다.저 에러와 같이 yyacc.c라는 파일이 없다고 한다.구글링을 해봐도 다 영어에다가 현재 내 경우와 다른거 같아서 제대로 해결이 안되서 방법을 생각하던중, Unreal엔진 소스 빌드도 원래 컴퓨터를 포맷하기 전에는 잘 빌드되다가 포맷 한 후에 빌드가 안된게 기억이 났다.혹시 Visual C++ Runtime 라이브러리가 없어서 그런가 싶어서 확인을 해보니Visual C++ 2015 버전만 설치되어 있지 않은걸 확인하고 설치를 ..
공모전을 준비하면서 유니티와 아두이노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일이 생겨 열심히 하던중 한가지 문제가 생겼다.아두이노에서 계속해서 "Hello" 라는 메시지를 시리얼로 보낸 후 C#을 통해 읽는 형식인데Unity를 이용해 시리얼에서 값을 읽어 오게 하였다.그런데 넘어 오는 값이 제대로 오는 것도 있고 짤리는게 꽤나 많다.문자는 이정도 짤려도 큰 문제가 없을 수도 있지만, 만약 구조체나 다중 데이터를 보내야 할때 큰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하루 걸러 이유를 찾아냈는데. 이유는 아두이노에서 시리얼에 메시지를 쓸때 한 번에 넘기는 것이 아닌 1 바이트씩 시리얼에 쓰게 된다.그래서 아두이노에서 메시지를 쓰던 도중에 C#에서 읽어버리니까 메시지가 다 써지지 않았음에 불구하고 읽어버리고 나머지..
유니티와 아두이노 사이에서 시리얼 통신을 해야 해서 인터넷에서 C# 시리얼 통신 예제를 찾아다니면서 해보던중유니티에서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난다.혹시 몰라서 유니티 프로젝트가 아닌 일반 C# 프로젝트에서 해봤는데, 당연히 된다.이게 왜 안될까 싶어 구글링을 시도해보았는데.Player Settings의 (각자 플랫폼) Api Compatibility Level이 다음과 같으면 C#의 내장 라이브러리중 일부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데, 그중에 System.IO.Ports도 포함 되어 있었는거 같다..Net2.0 Subset에서 .Net2.0으로 바꿔주면 모든 내장 라이브러리를 사용 할 수 있게 된다.이제 에러도 없어 졌다.
청소년 미래상상 경진대회를 진행하면서 아두이노에서 읽어온 센서를 블루투스를 통하여 노트북으로 전송할 필요가 생겨 진행을 하던중 아두이노에 블루투스 센서를 잡고 노트북 블루투스에서 잡는것 까지는 잘됬었다..아오 그런데 그 이후가 문제였는데 내가 사용하고 있는 블루투스 모듈은 HM-10 인데, 이놈의 내장 LED가 깜박이다가, 연결이 되면 깜박이는 걸 멈춰야 하는데 연결이 된 순간은 깜박임이 멈췄다가 다시 깜박이는 것이다.. 그리고 연결이 됬으면 시리얼 포트가 연결되어야 하는데 어딜 찾아봐도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하루 내내 방법을 찾으면서 구글링 해보고 삽질도 해보았는데 도저히 답이 안보인다..그렇게 찾으면서 라이브러리 여러개를 찾으면서 했는데 다 시리얼 포트를 연결해서 하는 것이다.(...)계속 해서 삽..
전부터 하고 있던 Vulkan API 위키 제작을 하면서 사이트를 개발하면서 갑자기 떠오른 생각인 Qt를 이용해 웹 페이지 내에서 포스팅을 하는 것이 아닌, 외부 프로그램으로 DB와 연동을 하여 포스팅을 해보자는 생각이 들어 해보았다.그리고 순수 개발기간은 한 일주일 정도 걸린거 같다.Qt를 평소에 조금씩만 만져보고 실질적인걸 만들생각을 안해보았는데, 이렇게 Qt를 건들고 실제 내가 사용할 툴을 만들면서 느낀점은 Qt는 역시 대단한 프레임워크 구나 싶었고 사용법만 익숙하다면 단기간에 프로그램을 빠르게 개발할 수 있을꺼라고 느꼇다.하지만 하면서 단점도 느꼈는데, Qt는 웹 사이트에 최적화 되어있는 프레임워크가 아닌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이다 보니 개발하면서 좀 힘든점이 없지 않아 ..